사고력 수학과 교과수학, 연산 구분 딱 가르쳐 드릴께요
안녕하세요.
미취학 7세이다 보니 내년에 초등학교 입학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걱정이 앞서고 있습니다.
다들 이제 정말 사교육을 시작하고 있는 터라 뭔가 하긴 해야 될 것 같은데 경험해보지 않은 초등학교라 막막한 심정입니다.
사고력 수학을 알아보다 보니 알게 된 사실!
요즘 수학은 사고력, 교과, 연산 이렇게 나누어져 있어 각각의 학원으로 보내는 엄마들도 있고, 엄마표 공부로 홈스쿨링을 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걸 알았습니다.
진짜 안하고 있는 아이는 저희 아이 뿐이라는 사실
(다들 초등학교 입학해서 하면 돼~ 라고는 하지만 집에서 다들 시키고 있어, 정말 아무것도 안하고 입학하면 우리 아이만 바보되는 요즘 선행학습의 실태)

수학 유형별 정리
교과 수학 |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맞춘 수학 | 단계별 개념 학습, 교과서 기반 | 초1부터 본격 시작 | 학교 진도에 맞춰 학습지 or 문제집으로 꾸준히 |
연산 수학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 ‘계산 능력’ | 반복 학습으로 ‘속도와 정확성’ ↑ | 6~7세부터 가능 | 하루 10분씩 꾸준한 연습 (속도보단 정확!) |
사고력 수학 | 논리,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중심 | 정답보다 과정, 다양한 풀이 | 5~6세부터 가능 | 보드게임, 스토리텔링 문제, 말로 푸는 수학 등 |
시기별 수학 시작 가이드 (7세 기준)
5~6세 | 사고력 수학 시작 | 보드게임, 규칙 찾기 놀이, 스토리 수학 |
6~7세 | 연산 시작 가능 | 주사위 연산, 그림 계산, 십의 자리 개념 |
초1 이후 | 교과 수학 시작 | 학교 진도에 맞춘 기본 개념 익히기 |
사고력 → 연산 → 교과 순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게 좋습니다.
수학을 꾸준히 학습하는 방법
① 수학을 "생활 속 놀이"로 접근하기
- 예: 마트 가서 돈 계산 놀이, 주사위 던져 큰 수/작은 수 찾기
- 수 개념이 몸으로 익어야 수학이 재미를 갖게 됨
② 짧고 자주! 하루 10~15분
- 아이 집중력은 짧기 때문에 짧게, 자주, 반복이 핵심
- 특히 연산은 하루 한 장씩의 루틴이 중요
③ 엄마가 문제를 함께 읽고 질문하기
- 사고력 문제는 스스로 풀기보다 “엄마와 대화하듯” 접근
- 예: “이 문제는 왜 이렇게 생각했을까?”, “다른 방법도 될까?”
④ 보드게임을 활용한 수학적 대화
- "왜 이걸 골랐어?" → 추론력 발달
- "다음에 이렇게 하면 이길 수 있을까?" → 전략적 사고
엄마표 학습 밸런스 예시 (7세 기준)
월/수/금 | 연산 수학 (10분) | 계산력 훈련, 쉬운 반복 |
화/목 | 사고력 활동 (15분) | 보드게임, 그림퍼즐, 말로 푸는 문제 |
주말 | 생활 속 수학 or 보드게임 | 마트 놀이, 자릿수 게임 등 |
근데 사실상 예시를 이렇게 표로 적어보았지만
현실은 유치원 숙제하고 놀기 1시간 하면 잘시간이라는 우리 아이들의 힘든 현실
맞춤법도 해야되고 연산도 풀어야 되는데 유치원 숙제에 치여 월수금만 하기로 정해놨어도 결국 주말에 몰아서 하게 되고
숙제 시간이 길어져 아이는 놀고 싶어하는 현실에
불쌍하기도 하면서 안타까움이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그치만, 정말 아무것도 안하고 있다가 사고력 학원 상담하러 갔더니, 동네 아이들이 거기 다니고 있는 모습을 알게 된 이상
여기서 멈추는 건 안된다...
다들 주변에서 어떠신가요? 진짜 안하는 집은 우리집 뿐
그나마 머리가 똑똑해서 다행이지 휴
다음 글에서는 요즘 저희 아이가 하고 있는 홈스쿨링 국어를 보여드릴 예정입니다.
책이 너무 좋아 서점에서 바로 사서 아이에게 시켜봤는데 생각보다 잘해서 재미붙이기 쉬워 추천드리려고 합니다.